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한뜻, 24절기 중 소한(小寒)이란?

by 성공을위한마인드셋 2024. 1. 6.

 

 

 

 눈이 수북이 쌓였습니다. 한겨울을 알리는 절기인 소한의 어원과 기상적 특징, 농사, 한의학적 시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의 한겨울을 밝히는 절기

 

 

소한뜻

 

소한(小寒) - 대한민국의 한겨울을 밝히는 절기

 

대한민국의 24절기24 절기 중 하나인 "소한(小寒)"은 매년 1월 5일 또는 6일경에 찾아오는 날로, 겨울의 정점에 이르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소한은 글자 그대로 작은 추위를 의미하며, 이 시기에는 한겨울의 추위가 최고점에 달하게 됩니다. 소한이란 용어는 중국의 전통 절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것이 한국에 전해져 24 절기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소한의 어원

 

 

소한의 어원을 파헤치기 위해서는 중국의 역사와 전통적인 철학인 도(道)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는 자연의 원리와 인간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중요한 철학적 개념으로, 절기 역시 이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소한이란 단어는 '작다'라는 뜻의 '소(小)'와 '추위'라는 뜻의 '한(寒)'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작은 추위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소한의 기상적 특징

 

소한은 대개 한반도 전체가 일군 동쪽 바람과 찬 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는 시기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대한민국은 한파와 함께 찬바람이 불고, 산간 지역에서는 눈이 내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높은 산지에서는 이미 눈이 쌓여 있어 한겨울의 풍경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줍니다.

 

 

소한의 농사일과 생활습관

 

한국의 농사일과 소한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소한이 찾아오면서 대부분의 작물이 동결되고, 특히 인삼, 팥, 고추 등의 겨울 작물은 이때 수확의 시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농사일과 함께 소한은 지역마다 다양한 행사와 음식이 즐겨지며 전통 문화의 장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소한의 한의학적 시각

 

한의학에서는 소한을 인체의 체온이 가장 낮아지는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체온이 낮아지면 신진대사가 감소하고 혈액순환도 둔화되기 때문에 체력이 저하되고 피로가 쌓이기 쉽습니다. 이 시기에는 몸의 내열기능을 강화하고 특히 식사나 휴식을 통해 체력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되고 있습니다.

 

 

 

 

 

 

 

소한을 즐기는 다양한 방법

 

건강한 음식 즐기기: 소한에는 몸의 내열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온햇살이 가득한 음식들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구마, 옥수수, 견과류 등 영양가가 풍부한 음식을 적절히 섞어 식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에서의 활동 증진: 추운 겨울 외부에서 활동하기 어려운 소한에는 실내에서의 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운동이나 예술활동을 통해 체온을 유지하면서도 유쾌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전통 문화 체험하기: 소한은 전통적인 명절이기도 하므로, 지역에서 열리는 소한맞이 축제나 전통 행사에 참여하여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체온 유지에 유의: 외출 시 충분한 옷차림과 보온에 신경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머리와 손, 발 등 신체의 주요 부분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소한은 대한민국의 겨울을 더욱 풍성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절기 중 하나로, 건강과 행복을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소한이 찾아오는 계절, 우리는 자연과 함께 어우러져 풍요로운 삶을 누리며 새로운 해의 시작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국민속 대백과사전을 찾아보면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소한부터 대한까지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 후(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고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기술하였다. 이는 중국 황하 유역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우리나라와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절기의 이름으로 보면 소한 다음 절기인 대한(大寒) 때가 가장 추워야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우리나라에서 일 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양력 1월 15일 무렵이다. ‘소한땜’이 아니라도 이때는 전국이 최저 기온을 나타낸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그만큼 소한추위는 맵다. 그러나 추위를 이겨냄으로써 어떤 역경도 감내하고자 했던 까닭으로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고도 했다. <발췌, 한국민속대박과 사전, 참고문헌 韓國의 歲時風俗 (張籌根, 螢雪出版社, 1984)>